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순서대로 바로 알아보기~

꿀팁대방출|2019. 11. 30. 16:51

 


 

 

살면서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순서를 외우는 경우는 드문 것 같아요. 학교 다닐 때는 조선시대 역대 왕들을 줄줄줄~ 노래처럼 외웠던 것 같은데... 사실 역대 대통령은 굳이 외워야 할 필요성이 없었던 것도 사실이구요. 그래서 친구들이나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가 역대 대통령 순서를 이야기해 보려고 하면 기억이 제대로 나지 않거나 뒤죽박죽... 머릿 속에 버퍼링이 걸릴 때가 많은데... 혹시... 저만 그러는건 ... 아니죠...?! ㅋㅋㅋ 그래서 오늘은 역대 대통령 순서와 간단한 약력에 대해서 한 번 포스팅해 볼께요. 1대부터 현재까지 총 19대까지 이어진 역대 대통령 순서 지금부터 고고싱~~~~

 

 

우선은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순서와 임기를 한 번 쭈욱~ 나열해보면 이렇답니다. 


1~3대 이승만 대통령 



4대 윤보선 대통령 



5~9대 박정희 대통령 



10대 최규하 대통령 



11~12대 전두환 대통령 



13대 노태우 대통령 



14대 김영삼 대통령 



15대 김대중 대통령 



16대 노무현 대통령 



17대 이명박 대통령 



18대 박근혜 대통령 



19대 문재인 대통령 


이렇게 역대 대통령을 확인해 볼 수가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대통령제는 대한 광복 이후에 남한에 단독 정부가 수립 되면서 부터 시작되는데요. 1948년부터 현재인 2019년까지 역대 대통령이 얼만큼의 기간만큼 임기를 채우며 역임 했는지 한 번 한 분 한 분 알아보도록 할께요. 

 

 

 

 

 

1-3대 이승만 대통령 




첫번째로는 이승만 대통령인데요 우리나라의 초대 대통령으로 임기기간은 1948년~1960년이예요. 특이한 점은 국민투표가 아닌 제헌 국회 의원들에 의해 간접 선거 방식으로 선출이 되었는데 이후에 2,3대 선거때에는 직접 선거로 선출이 되었다고 해요. 하지만 당시에 세상을 떠들썩 하게 했었던 3.15 부정선거로 국민들의 분노가 4.19혁명으로 나타나면서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는데요, 이후에 하와이로 망명하여 살았으며 1965년에 서거하였어요. 

 

4대 윤보선 대통령




다음으로는 4대 윤보선 대통령인데요 1960년 8월부터 1962년 3월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임기를 역임하였는데 당시에 위에서도 언급했던 국민들의 4.19혁명으로 인해 이승만 대통령이 갑자기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 이후 민주당 후보로 대통령선거에 출마해 4대 대통령에 선출이 되었답니다. 하지만 5.16 군사 정변으로 1962년에 대통령의 권위가 많이 위축 되면서 자진 사임을 하게 되고, 이후 민정당을 창당 1963년에 다시 한 번 대통령 선거에 출마 했지만 실패의 고배를 마셔야했고 이후에 정치 행보는 그다지 눈에 띄는게 없었던 걸로 기억해요. 



몇해 전에 윤보선 대통령의 손자가 아나운서로 유명세를 떨치면서 윤보선 대통령 또한 관심을 받기도 했었던 게 기억이 나네요. 

5-9대 박정희 대통령




그 다음으로는 5~9대까지 역임한 박정희 대통령인데요 임기 기간이 무려 1963년부터 1971년 7월까지로 역대 대통령 중에서도 가장 오랜 시간 집권을 했는데 이는 아마 앞으로도 깨지기 어려운 기억이 아닐까 싶어요. 가장 긴 시간동안 대통령자리를 유지했기 떄문에 또한 많은 업적을 세우기도 했지만 1979년 박정희 정부에 반대하는 부마사태가 절정을 이루던 시기에 김재유 중앙 정보 부장이 쏜 총을 맞고 서거 하였는데 당시에 대통령의 서거 그리고 그게 누군가의 총살이라는 점 때문에 꽤나 큰 충격과 이슈가 되었다고 해요.

 

 

10대 최규하 대통령




다음으로는 최규하 대통령으로 총 임기기간은 1979년 12월부터 1980년 3월까지로 채 1년이 되지 않은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짧은 기간을 역임하였답니다. 박정희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로 인해서 그 자리를 채울 수 있는 사람이 없었기에 당시에 국무총리였던 최규하 대통령이 10대 대통령을 임시 대행 식으로 역임하였는데 따라서 최초의 국무총리 출신의 대통령이라는 타이틀 또한 가지고 있답니다. 짧은 역임기간동안 우여곡절도 많았었는데 안으로는 하나회가 반란을 일으켜 군부의 실권을 장악하고 밖으로는 민주화 시위가 터져 재임기간동안 여러가지로 수난을 겪은 대통령이기도 하답니다. 

 

 

 

11-12대 전두환 대통령





다음으로는 전두환 대통령으로 총 임기기간은 1980년 9월부터 1988년 2월까지예요. 사실 정치가이기 전에 군인이었기 때문에 12.12군사반란으로 군부를 장악해서 군부독재라는 비판을 많이 받았고 그 문제가 현재까지도 재판으로 진행이 되고 있죠? 



당시에 치열했던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서 유혈사태로 번진 광주 민주화 운동, 군사반란으로 이룬 12.12사태, 말만 들어도 오금이 저리는 삼청교육대를 만드는 등... 힘으로 정권을 잡으려 했던 무시무시한 대통령이었으며 비자금 등의 문제로 전 국민 앞에 부끄러운 대통령의 모습을 보이면서 사법처리를 받은 대통령이예요.

 

13대 노태우 대통령




다음으로는 노태우 대통령으로 임기 기간은 1988년 2월부터 1993년 2월까지로 이때부터 최초의 대통령 직선제로 선출된 대통령입니다.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선택하게 되면서 민주주의의 발전에 어느정도 틀을 마련하게 되었는데 이전 대통령들과는 다르게 외교정책에 적극적이며 특히나 냉정관계였던 북방 외교에 힘을 실키도 하였는데 전두환 대통령과 같이 5.18민주화운동의 강제진압과 12.12 군사반란 등에 가담함은 물론 비자금 문제까지 터져서 구속과 재판을 당하게 되었답니다.

 

 

14대 김영삼 대통령 




다음으로는 김영삼 대통령으로 임기 기간은 1993년 2월부터 1998년 2월까지예요. 민주주의가 채 자리잡지 못했던 이전에는 군인 출신의 대통령이 많았지만 김영삼 대통령의 경우 군인 출신이 아닌 점에 문민정부라 칭하기도 하는데 만 26세의 나이로 민의원선거에 출마,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이라는 경력 또한 가지고 있답니다. 민주주의의와 부패 척결에 힘쓴 대통령이었지만 IMF 구제 금융이라는 대한민국 초유의 사건으로 꽤나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던 대통령이기도 하답니다. 

 

15대 김대중 대통령




다음으로는 김대중 대통령인데 재임 기간은 1998년 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역임하였답니다. 사실 여러 좋은 정치적 행보보다는 우리나라 최초의 노벨평화상을 받은 인물이라는 타이틀이 큰데요, 이런 상 이면에는 김대중 대통령의 외교정책 또한 빛을 발했는데 미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여러 나라들과의 협정에서도 좋은 결과를 낳았고 우리나라 최초의 공동월드컵 개최라는 큰 성과도 이뤘으며 일명 햇볕정책이라는 북한과의 관계 또한 이전과는 다른 많은 발전을 이룰 수 있게 한 대통령이랍니다. 

 

 

16대 노무현 대통령





다음으로는 노무현 대통령인데 재임 기간은 2003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랍니다. 최초의 인권변호사 출신 대통령으로 원래는 1992년 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당시에는 낙선의 고배를 마셔야 했고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당히 대통령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당시 여소야대의 정국 속에서 탄핵이라는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까지 맞이하여 우여곡절이 많았던 대통령이었죠. 게다가 퇴임 이후에 고향으로 내려갔으나 여러 구설로 인해서 결국 투신 서거하는 충격을 안겨준 대통령이랍니다.

 

17대 이명박 대통령




다음으로는 이명박 대통령으로 임기 기간은 2008년 2월부터 2013년 2월까지예요.



이명박 대통령은 기업인 출신의 정치인이라는 이력은 물론 당시에 경제살리기에 온 국민의 염원이 담겨 있던터라 경제를 살릴 경제 대통령이라는 타이틀을 가지며 서울시장을 거쳐 대통령에까지 선출이 되었답니다. 현재는 다스 회사 문제로 인해서 재판 중에 있는데 퇴임 후에 여러가지로 곤욕스러운 상황을 많이 겪고 있답니다. 


18대 박근혜 대통령




다음으로는 박근혜 대통령으로 임기 기간은 2013년 2월부터 2017년 3월까지입니다. 

 

 



5-9대 대통령을 역임한 박정희 대통령의 딸이라는 타이틀로 주목을 받았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라는 타이틀로 화려하게 데뷔하였으나 임기 끝 무렵,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한 최순실 게이트와 세월호 사건 등등...으로 국민에 의해서 탄핵이 된 최초의 대통령이도 한데 2017년 3월에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탄핵이 결정되면서 파면 되었는데 관련해서는 현재까지도 재판이진행 중이랍니다. 

19대 문재인 대통령

 

마지막으로는 현재 대통령직을 유지하고 있는 19대 문재인 대통령으로 2017년 5월부터 현재까지 임기를 수행 중에 있으며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으로 생각보다 빠른 선거가 치뤄진 결과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은 부산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인권변호사로 활동한 이력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어려운 상황이 많은 요즈음에 앞으로는 행보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하는 대통령이랍니다. 

반응형

댓글()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